손자병법과 품질혁신
목차
제1부 전쟁터와 경영회의실
제2부 상황에 대한 평가
제3부 전략적 목표의 설정과 싸움터의 선택
제4부 전략의 수립
제5부 전략에 대한 평가
제6부 전략의 실행 : 사람의 문제
제7부 전략의 실행 : 운영의 문제
제8부 전략적 통제
제9부 전략경영과 전략적 사고
PreView
<주요내용>
제1부 전쟁터와 경영회의실
경영을 전쟁 상황에 비유하는 것은 그리 새로운 아이디어는 아니다.
예를 들면, 미일 무역전쟁과 같은 전쟁 메타포(metaphor)는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경영회의실에서도 이제는 거의 상투적인 관용어가 되어 버렸다. 1985년 7월 뉴욕 타임즈 매거진에는 미국이 군사적 전쟁에서는 승리를 거두었으나 일본과의 경제적 전쟁에 지고 있다는 주장의 글이 실렸다. 그로부터 5년이 지난 1990년 4월 9일자 인터내셔널 비즈니스 위크지에도 미일 무역갈등을 다루고 있는 ‘자동차 전쟁’이라는 기사가
커버스토리로 실렸다.
실제로 군사전략을 경영에 적용한 연구들이 여러 가지로 시도되고 있고 최근의 리스와 트라우트의 『마케팅 전쟁』(1986)이라는 책은 1832년에 쓰여진 칼 폰 클라우제비쯔의 전쟁론을 응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원전 몇 세기에 고대 중국에서 쓰여졌으면서도 오늘날 모든 현대 군사전략의 기초사상을 담고 있다고 하는,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군사전략서인 손자의 『손자병법』을 응용한 연구는 흔치않다. 『손자병법』이야말로 군사적 맥락에서 뿐만 아니라 현대 경영의 본질에 대해서도 통찰력을 제공해 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전쟁과 경영의 본질을 탐구하는 데에는 『손자병법』에 대한 연구와 이해가 필수불가결하며, 20세기 후반의 가장 놀라운 경제사건 중 하나인 미국 경제의 일본 경제에 대한 상대적 쇠퇴현상을 설명하고 해석해 낼수 있는 좋은 틀이 될 수도 있다.
제2부 상황에 대한 평가
손자병법의 전략경영 모형에 나타난 대로 상황에 대한 전략적 평가가 그 첫 번째 단계이다. 제1부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략 적 의사결정 과정은 전쟁을 시작하는 것이 과연 바람직한 것인지, 그렇지 않은 것인지를 가늠하는 데서부터 시작된다.
제3부 전략적 목표의 설정과 싸움터의 선택
일단 상황에 대한 평가가 끝나고 전쟁을 결정하면, 그 다음 단계는 전쟁에 대한 준비단계이다. 전쟁에 대한 준비는 두 가지 차원에서 이루어진다.
(1) 전략적 목표의 설정
(2) 전략(싸움터의 선택을 포함한)의 수립
이 두 가지 차원은 각기 나름대로의 원리에 의하여 형성된다.
전략의 수립이라는 주제는 상당히 광범위한 내용을 취급해야 하기 때문에 제4부와 제5부의 두 개 부로 구분하여 논의한다. 제4부에서는 전략적 목표의 설정과 싸움터의 선택에 관한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본 자료는 웹상에서 수집된 정보로 출처가 명확하지 않은 자료입니다. 본 자료의 저작권에 문제가 확인되면 바로 비공개로 전환 예정이니 참고바라며, 저작권자 또는 출처를 아시는 분은 댓글로 공유부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