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계적 직무분석 방법론 동영상 교육 - 총 52강

직무분석 컨설팅센터 공식채널에서 제공하는 '체계적 직무분석 방법론' 유튜브 강의입니다.

체계적 직무분석 방법론.png

 

 체계적 직무분석은 조직 내에서 개별 직무의 역할, 책임, 필요한 기술 및 자격 요건을 명확하게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채용, 교육, 평가 및 경력 개발 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직무분석은 조직의 목표 달성과 효율성 향상에 필수적인 요소로,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중요한 이유로 인해 강조됩니다.

 

체계적 직무분석의 중요성

1. 채용과 배치: 직무분석을 통해 얻은 정보는 적절한 인재를 채용하고, 각 직무에 가장 적합한 사람을 배치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를 통해 조직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2. 교육과 개발: 직무에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직원들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3. 성과 평가: 직무의 명확한 기준과 목표를 설정하여, 직원들의 성과를 공정하게 평가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4. 경력 개발: 직무분석 결과는 직원들의 경력 개발 계획 수립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됩니다. 이를 통해 직원들의 동기 부여 및 직무 만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강의 목록
NO Preview 제목 (클릭하세요)
1 etc-image-1 1 직무분석의 정체 대략적으로 파악하기
2 etc-image-2 2 오타니쇼헤이의 목표관리표를 통해 알아보는 직무분석의 개념
3 etc-image-3 3 직무분석은 어떻게 회사와 개인의 성과를 향상시키는가
4 etc-image-4 4 [성과란 무엇인가] 직무분석을 통해 도출해야 하는 결과물 1 직무성과목표
5 etc-image-5 5 [핵심성공요인이란] 직무분석을 통해 도출해야 하는 결과물 2 핵심성공요인CSF
6 etc-image-6 6 [행동지표란 무엇인가] 직무분석을 통해 도출해야 하는 결과물 3 행동지표
7 etc-image-7 7 [직무역량과 직무자격의 개념] 직무분석을 통해 도출해야 하는 결과물 4 직무역량과 직무자격
8 etc-image-8 8 [KPI의 개념] 직무분석을 통해 도출해야 하는 결과물 5. KPI
9 etc-image-9 9 [1강~8강 내용정리] 직무분석이란 무엇인가?
10 etc-image-10 10 [직무분석 실습 가이드] 학습내용 중간점검을 위한 직무분석 실습하기
11 etc-image-11 11 [직무분석 프로세스 1 . 직무분류] 직무를 분류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
12 etc-image-12 12 [직무분석 프로세스 2. SME선발] SME선발 시 유의사항
13 etc-image-13 13 [직무분석 프로세스 3. 직무분석 본단계] 직무분석의 대표적 유형
14 etc-image-14 14 [직무분석 프로세스 3. 직무분석 본단계] 직무분석을 실시하는 일반적 방법
15 etc-image-15 15. [목표설정 방법] 팀/개인 성과목표 설정 시 자주 저지르는 오류
16 etc-image-16 16 [미션의 개념] 목표 설정의 기준, 미션Mission 이해하기
17 etc-image-17 17 [미션의 기능. 1] 미션을 통한 조직 업무분장 방법
18 etc-image-18 18 [미션의 기능. 2] 바람직한 목표설정의 방법(가이드라인)
19 etc-image-19 20 [목표설정 방법] 올바른 직무성과목표의 기준
20 etc-image-20 [번외편] 직무분석 연습하기 구독자 실습결과 피드백
21 etc-image-21 21 [CSF도출 시 유의사항] 바람직한 핵심성공요인의 도출방법
22 etc-image-22 22 [체계적 인사관리] 행동지표를 통한 구체적 성과관리의 방법
23 etc-image-23 23 [행동지표의 요건] 이러한 행동지표가 더 좋은 성과를 이끌어낸다
24 etc-image-24 24 [행동지표 사례] 회사의 중간관리자를 이 기준으로 평가해보세요.
25 etc-image-25 25 인사담당자의 행동지표를 통한 평가,성과관리 사례
26 etc-image-26 26 [직무역량의 개념] 역량이란 무엇인가?
27 etc-image-27 27 [고성과자의 DNA 추출방법] 지식, 기술, 태도의 개념과 구분기준
28 etc-image-28 28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역량개념이 너무 공허하다고 느끼시는 분들이 보셔야 하는 역량의 바람직한 개념
29 etc-image-29 29 [KPI활용방법] KPI를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까?
30 etc-image-30 30. [KPI 도출방법] 좋은 KPI VS 나쁜 KPI 특징 알기
31 etc-image-31 31 직무기술서 양식을 어떻게 구성해야 할 것인가?
32 etc-image-32 32. 직무기술서를 정기적으로 업그레이드, 업데이트 시키려면...?
33 etc-image-33 33. 직무분석을 통한 직원 인사평가 방법(업적평가)
34 etc-image-34 34. 인사고과 중 역량평가_직원들의 역량을 평가하는 바람직한 방법
35 etc-image-35 35. 직무 적합인재 채용을 위해 직무기술서를 활용하여 채용 프로세스를 기획하는 방법
36 etc-image-36 36. 직무기술서를 활용하여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육훈련 운영 방법
37 etc-image-37 37. 팀원들의 직무적합성 판단 방법
38 etc-image-38 38 직무분석의 원리를 활용하여 손쉽게 전사/팀의 사업계획을 수립하는 방법
39 etc-image-39 [번외편] 직무분석 연습문제에 대한 피드백 두번째
40 etc-image-40 39. [조직설계방법] 부서 신설 시 수행과업 도출 및 적합인원배치 방법
41 etc-image-41 [번외편] 직무기술서 작성 중간과정 피드백
42 etc-image-42 40. 체계적인 성과관리 습관을 도와주는 주기별 업무 체크리스트 제작방법
43 etc-image-43 41. 직무분석을 통한 효과적 팀업무관리 체크리스트 만들기 (병원 사례)
44 etc-image-44 42. 직무급 등의 기준을 설정하는 직무가치평가방법
45 etc-image-45 43. 조직 생산성 향상을 위한 혁신 및 개선활동 프로세스
46 etc-image-46 44. 팀이나 개인의 과업을 더 효과적인 과업들로 재조정하는 방법
47 etc-image-47 45. 효과적 업무매뉴얼 제작방법
48 etc-image-48 46. 효과적인 취업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알아야 할 직무기술서 활용방법
49 etc-image-49 47. 직무분석 추진 상세 스케줄표 사례
50 etc-image-50 48. 직무분석 사례 소개 (체계적 직무분석 방법론 마지막 강의)
51 etc-image-51 [Q&A] 평가방법 및 평가기준에 대한 질문과 답변
52 etc-image-52 [Q&A] 직원 역량평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직무분석 컨설팅센터 공식채널

직무분석이라는 방법을 중심으로 기타 조직이 체계적으로 성과를 관리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립니다.

www.youtube.com